개인발명가가 스크린골프의 절대강자 골프존을 상대로 한 특허전쟁에서 1승을 먼저 올렸다.

25일 특허심판원은 ㈜골프존이 개인발명가 A씨를 상대로 제기한 '골프공 공급장치' 특허 무효심판에서 A씨의 골프공 공급장치가 기존의 골프공 공급장치보다 오작동을 크게 개선했음을 인정, 특허가 유효하다고 최근 결정 했다고 확인했다.

특허심판원은 A씨의 골프공 공급장치는 타격 후 날아가는 공을 센서가 감지해 공을 공급하도록 고안돼 종래 기술에서의 오동작과 센서 파손 문제를 해결했다고 봤다. 

또 하나의 센서로 타격된 골프공 속도 및 비거리 측정과 골프공 공급 동작을 연동시켜 볼 공급의 정확성과 사용의 편리성을 크게 개선했다고 판단했다. 

이와 달리 예전 방식은 골프 티 아래나 골프채 스윙 경로에 설치된 센서에서 타격 여부를 감지해 골프공을 공급하도록 돼있다. 

이 방식은 실수로 공이 티에서 떨어지거나 단순 연습 스윙만 해도 타격한 것으로 인식돼 의도하지 않게 다음 공이 공급되는 오동작을 일으키는 원인으로 작용했다. 

더불어 골프채 충격으로 센서가 파손될 가능성도 컸다. 

A씨는 지난 2013년 6월 ㈜골프존의 제품이 자신의 기술을 사용하고 있다고 주장하며 ㈜골프존을 상대로 특허침해금지 소송을 냈다.

이네 ㈜골프존은 특허심판원에 A씨의 골프공 공급장치 특허에 대해 무효심판을 냈다. 

A씨는 이번 무효심판에서 이김에 따라 현재 법원에서 진행 중인 특허침해소송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하게 됐다.

한편 골프존은 지난달 8일 특허법원에 심판원의 심결에 대한 무효심결취소 소송을 냈다.

출처 세계일보 박태훈 기자

개인발명가가 기업을 상대로 특허전쟁에서 이긴 의미있는 소식이네요. 명확히 발명의 효과가 있었고 이에 대한 침해사실이 드러난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과연 어떻게 흘러갈지는 두고봐야 할 것같네요.


Posted by 와우댕글
IDC의 최근 보고서는 2014년 2/4분기 기준 PC 모니터 산업이 전년 동기대비 약 -2.9% 감소하였다고 말하면서 모니터 산업의 전반적인 성장현황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 IDC는 전 세계 출하량이 2018년까지 거의 1억7백만 대에 달할 것으로 예상하는 가운데 지속적인 성장세를 이어갈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다. 전체적인 차원에서의 감소세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경우 11%이상의 분기별 성장세를 기록하고 있으며, 일본을 제외한 아시아/태평양 시장의 경우 PC 모니터부분에서 소폭 상승한 점유율을 가지게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전체적인 성장세가 예상한 것보다 4%이상 크게 나타나고 있다고 IDC에서 PC 모니터 트래커를 담당하고 있는 관계자는 말한다. 

이번 연구 보고서는 기술적 측면에서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측면이 새로이 일어나게 될 것이라고 예측한다. 

첫 번째, LED 제품 기술 채택이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14년 2/4분기 기준 93%의 점유율을 가지게 될 것이라고 한다. 이와 같은 예측치는 연평균 성장률이 10.5%에 달할 것이라는 전망과도 맥락을 같이 한다. 

두 번째, 21.x 인치 사이즈의 스크린 크기가 지난 분기를 통틀어서 가장 높은 시장 점유율을 보이게 될 것이라고 제시하는데, 2014년 2/4분기 기준 22.5%에 달할 것으로 전망한다.

세 번째, 16:9의 비율이 시장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82.4%에 달할 것으로 전망되는데, 이와 같은 수치는 16:10 비율이 차지하는 비율의 거의 일곱 배에 다다르게 될 것으로 여겨진다. 

네 번째, 터치스크린 모니터가 전체 모니터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0.4%에 불과할 것으로 여겨지는데, 주로 미국에서 나타나고 미국 지역에서의 비율은 39.5%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HP사가 미국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율 중에 36.8%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번 연구 보고서에서는 벤더 관점에서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측면이 새로이 부각될 것이라고 예측한다. 

첫 번째, 델 사가 2014년 2/4분기에도 여전히 1위의 자리를 차지하고 전체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15.4%에 달할 것이고 출하량은 5백만 대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일본시장이 델 사에게 있어서 가장 높은 비율을 제공하는 시장으로, 점유율이 17.1%에 달할 것으로 여겨진다. 미국 내에서의 점유율도 여전히 1위로 전체 시장 점유율은 29.4%에 달할 것으로 여겨진다. 

두 번째, 삼성은 전체 출하량 측면에서 여전히 2위의 자리를 고수하는 가운데 동 분기 수익률은 10억불에 달하면서 전체 수익률에서는 1위의 자리를 고수할 것으로 전망된다. 삼성의 수익은 전체 시장 관점에서의 수익률로 대표되며 약 17.9%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세 번째, 전 세계 순위는 세 번째인 것으로 여겨지는 HP사는 주로 캐나다와 서유럽에서의 점유율이 17.2%와 16%에 달하면서 시장 점유율 1위를 고수할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에서의 시장 점유율 순위는 두 번째이고, 중동과 아프리카 지역에서의 순위 또한 두 번째 인것으로 여겨진다. 

네 번째, 레노버사는 2014년 2/4분기 기준 순위가 네 번째로 밀려났다. 레노버사의 경우에는 2014년 1/4분기 동안 25.7%의 성장률을 기록하면서 일본을 제외한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1위의 자리를 차지하였는데, 레노버사의 동 분기에서의 가장 큰 수익비율은 주로 미국에서 발생한 것으로 전해진다. 

다섯 번째, 엘지의 순위는 5위로 하락하였지만, 남미지역의 시장 점유율은 32.4%에 달하며 1위의 자리를 고수하고 있으며 중동과 동유럽 지역에서도 여전히 2위의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출처 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PC모니터 산업이 점차 예상하는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을 중심으로 가고 있네요. 전체적으로 LED제품 기술 채택이 늘어나고 와이드 화면 비율이 점차 많아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Posted by 와우댕글

미국 데스 밸리의 수수께끼 바위 자국

관련 이미지미국 캘리포니아 데스 밸리(Death Valley)에는 아주 평탄한 마른 호수, ‘레이스트랙 플라야(Racetrack Playa)’가 있습니다. ‘저절로 움직이는’ 바위들이 있는 곳으로 유명합니다. 인적이라고는 찾아보기 힘든 사막 한 복판에서 바위를 마치 누가 잡아서 끌어당긴 것처럼 길고 선명하게 움직인 자국이 나 있기 때문입니다.
이상엽 취파_640
딱딱하게 굳은 땅 위로 바위가 움직인 자국은 긴 직선일 때도 있고, 때로는 둥글게 곡선을 그리기도 합니다. 이 모습이 마치 경주 시합을 하는 것 같다고 해서 ‘레이스트랙 저지대’란 이름이 붙었습니다. 하지만 도대체 어떤 이유로, 무엇이 이 바위를 움직이게 하는지는 오랫동안 미스터리로 남아있었습니다.

그런데 캘리포니아 스크립스 해양연구소의 리처드 노리스 박사팀이 끈질긴 관찰 끝에 그 비밀을 알아냈습니다. 지난 2011년부터 이들은 기상관측장비와 카메라를 갖다놓고 GPS를 이용해 바위의 움직임을 오랫동안 인내심을 갖고 측정해 왔는데, 그 결과 새로운 사실을 발견한 겁니다.
이상엽 취파_640
레이스트랙 플라야는 1130미터 고지대에 위치해 종종 얼음이 얼고 눈이 내릴 때가 있습니다. 어떤 때엔 이 딱딱한 표면 위에 고인 물이 얼어붙는데, 때로 이 얼음은 강한 바람 때문에 여러 조각으로 깨지기도 합니다. 연구팀은 이 미끄러운 얼음 조각 위로 바위가 미끄러질 것이라고 생각하고, 실제 그 증거를 찾기로 했습니다.

연구팀은 지난해 12월 얼어붙은 이 사막 호수에 캠프를 차리고 하염없이 기다렸습니다. 바위가 움직이는 순간을 포착하기 위해 추위도 참아가며 인내심을 발휘했지요. 그러던 어느 날, 발견했습니다. 깨진 얼음조각이 바위 옆을 지나치면서 아주 살짝 이 바위를 움직이는 것을 포착한 겁니다. 아주 느린 움직임이어서 눈으로 구별하기가 어려울 정도였지만, GPS 상으로 분명히 바위의 위치가 달라졌습니다.

시간이 지나 낮이 되면서 기온이 올라가자 얼어붙은 얼음이 녹았습니다. 그러자 새로 생긴 ‘경주 시합 자국’이 곳곳에서 드러나기 시작했습니다. 60곳도 더 되는 자국이 발견된 겁니다.



가만 보니 이 바위들은 계속 움직이는 게 아니라, 바람과 얼음의 힘이 바위를 움직일 만큼 충분히 강해졌을 때만 아주 조금씩, 조금씩 움직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참 가만히 있다가 갑자기 충격을 받아 한 발짝씩 움직이는 식입니다. 그리고 이런 움직임이 반복되며 오랜 세월이 흘러 마침내 긴 자국을 이룬 것입니다.
이상엽 취파_640
연구팀도 이런 발견이 무슨 과학계에 한 획을 긋는 대단한 업적이 아니라는 건 잘 알고 있답니다. 하지만 이런 약하고 느린 얼음의 힘도 의외로 큰일을 해낼 수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예를 들어 지난 1952년 미국 네바다의 한 호수에서는 얼음 때문에 땅에 박힌 전화선 지지봉이 밀려 뽑혀나가 미국 동서를 연결하는 장거리 전화가 마비되기도 했다면서, 오랜 시간에 걸쳐 커다란 바위를 움직인 것이 결국 약한 얼음의 힘이라는 겁니다.

이런 연구결과를 보면 문득 미국의 과학계가 부러워지곤 합니다. 우리나라 같으면 돈 한 푼 안 나오는 이런 한가해 보이는 연구를 위해 몇날 며칠 추운 사막에서 캠프 치고 앉아 돌덩이 움직이는 거나 보겠다고 한다면, 정신 나간 사람이란 소리 듣기가 십상이니 말입니다.

어제 학술지 ‘플로스 원(PLoS ONE)'에 실린 이 연구가 소개되자 벌써 ’나도 가서 기다려보겠다‘는 사람들의 반응이 나오고 있습니다. 여러모로 대단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출처 SBS뉴스 이상엽기자
저절로 움직이는 바위
http://www.nature.com/news/wandering-stones-of-death-valley-explained-1.15773

돈에 상관없이 실험할 수 있는 여건이 부럽기도 하고 끈질긴 관찰과 노력의 결과로 알아낸 사실이 대견스럽기도 하네요. 바위가 이동한 거리에 따라 얼마나 이동했는지도 알 수 있겠네요.


Posted by 와우댕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