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409/28/htm_2014092811114553005011.jpg)
신제윤 금융위원장이 24일 수원 광교 테크노밸리를 방문한 자리에서 금융권에 ‘기술금융’의 확산을 주문하며 한 말이다. 그는 요즘 온 신경을 중소·벤처기업 지원에 쏟고 있다. 기술금융은 담보가 아닌 ‘기술’을 평가해 기업에 자금을 대는 것이다. 이를 위해 감독당국의 검사·제재 방식도 싹 바꾸겠다고 공언했다. 기업의 ‘젖줄’인 주식시장을 키우기 위한 종합대책도 곧 내놓겠다고 밝혔다.
이처럼 정부가 발벗고 나선 건 ‘창조금융’이 없으면 ‘창조경제’도 이루기 어렵다는 판단에서다. 뛰어난 기술과 아이디어로 무장한 기업이라도 금융회사가 담보나 보증만 요구하며 돈을 꿔주지 않으면 제대로 사업을 벌이기 어렵다. 또 막 싹을 틔우는 벤처기업들에 자본시장을 통해 모험자본이 공급되지 못하면 제대로 성장하기 힘들다. 금융이 바뀌어야 경제의 체질도 바뀌는 것이다.
![](http://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409/28/htm_201409281112353005011.jpg)
은행들이 새롭게 개척에 나선 곳은 중소기업이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8월 말 기준 시중은행의 중소기업 대출 잔액은 498조7000억원으로 올들어 25조3000억원이 늘었다. 중기 대출 잔액은 2012년 5조8000억원 늘어나는데 그쳤지만 지난해 26조6000억원이 불어났고, 증가세가 이어지고 있다. 시중은행의 한 여신담당 임원은 “대기업 시장은 이미 포화 상태”라며 “이미 연초부터 중소기업에 집중하기로 영업방침을 정했다”고 말했다.
![](http://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409/28/htm_2014092811115353005011.jpg)
재도약을 위해선 발판이 튼튼해야 한다. 바로 고객의 신뢰다. 동양그룹 사태, 고객정보 유출 사건 등을 겪으며 금융권을 보는 시선은 싸늘해진 게 사실이다. 신뢰 회복을 위해 사회공헌을 늘리는 한편 ‘업(業)의 본질’을 각인시키는 활동도 활발해지고 있다. 한동우 신한금융그룹 회장은 “공동체의 사회적 가치와 기업의 경제적 가치를 동시에 만족시키는 ‘공유가치’를 만들어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민근 기자
'지식재산권과 기술 > 지식재산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성, 작년 안드로이드OS 특허료 1조원 (0) | 2014.10.06 |
---|---|
中企, 특허분쟁 휘말리지 않으려면… (0) | 2014.10.01 |
특허분류·특허 패밀리 정보 무료 공급 (0) | 2014.09.29 |
골프공 자동공급 특허전쟁에서 개인이 골프존에 先勝 (0) | 2014.09.26 |
특허청-지식재산 직접 투자 펀드 200억 조성 (0) | 2014.09.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