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결론 및 토의를 제 생각대로 적었으며, 실험 조교님이 가장 많이 썼다고 했습니다.물론 보고서 점수는 A+을 받았습니다.




목차

1. 결과

2. 결론 및 토의

3. 참고문헌



본문내용

두 개의 용수철저울과 추를 매달아 실험해 보면서 힘의 평형이란 것을 직접 체험하였다. 용수철저울 사이의 각도를 고정시키고 또한 각각의 추 걸이에 추의 질량(개수)를 변화시키면서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을 통해 구한 합력과 이론적으로 나올 합력을 비교하면서 오차원인을 분석해 보았고, 힘의 평형에 대한 개념을 원리를 통해 이해하게 되었고 직접 실험해보았다.
표에서 나온 추의 힘은 1~5번 모두 같을 수밖에 없었다. 중력가속도가 상수 값으로 나와 있고 똑같은 추 질량으로 하기 때문이다.
추의 힘이 이론값이 되고 합력이 실제 값이 된다. 용수철저울이 추를 받치면서 아무런 움직임 없이 공중에서 멈추게 되면 힘의 평형을 이루었다는 건데 원리에서 보듯이 이 때 힘이 0이어야한다. 합력=추 질량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여기서 이것이 같지 못해서 오차가 생기고 이를 구한다.
표에서 나온 수치를 보면 오차가 매우 크게 나온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는 실험이 제대로 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실험의 오차가 난 요인을 분석해보면 이렇다.
설치할 때의 오차를 들 수 있다. 이론적으로 완벽하게 설치하는 건 확실히 어렵기 때문에 오차가 생기게 된다. 하지만 이런 값은 매우 작게 차이가 날 것이다. 우리가 실험할 때에는 Stand rail의 구멍에 끼워 설치하는 과정을 제대로 하지 않아서 실험의 오차가 생긴 것이 아닐까한다.





다운받기/자세히보기


Posted by 와우댕글

소개글

결론 및 토의를 제 생각대로 적었으며, 실험 조교님이 가장 많이 썼다고 했습니다.물론 보고서 점수는 A+을 받았습니다.


목차

1. 결과

2. 결론 및 토의

3. 참고문헌



본문내용

# 결론 : 낙하한 거리 s를 독립변인으로 막대에 각각 표시하고 공이 떨어지면서 전기멈춤시계가 측정하고 있는 시간을 멈추도록 하여 공이 떨어지는 데까지 걸리는 시간 t를 측정하였다. 이렇게 구해진 값들로 중력가속도를 구할 수 있었고 이 값은 9.62m/s²으로 이론값과 비슷하게 나왔다. 그래프에서는 이차함수의 개형으로 거리가 시간 제곱에 따라 비례하는 등가속도 운동에서의 공식 s=(1/2)gt²을 확인할 수 있었다. 어느 정도 오차 요인을 무시하고 본다면 자유낙하운동임을 확인해볼 수 있었다.

# 토의 : 시간을 측정할 때 왜 ms(milli second)를 쓴 것일까? 생각을 해보았다. 거리를 독립변인으로 0.2m,0.4m,0.6m,0.8m를 쓰고 있는데 이와 같은 거리는 중력가속도 측정을 하기에는 너무 짧은 거리다. 우리가 알고 있듯이 중력가속도는 9.8m/s²인데 1초 때에 9.8m를 갈 수 있다는 뜻이다. 따라서 시간이 측정될 값은 1초보다 작게된다. 공이 빠르게 떨어져 측정을 하기 때문에 0초부터 1초 사이의 값이 나오게 될 것이다. 따라서 좀 더 정확한 값을 알기 위해 ms(milli second)로서 측정을 한 것이다. 계산할 때 초 단위로만 측정을 했었다면 아마도 정확한 값이 아니라 오차가 더 커졌을 것이다.




다운받기/자세히보기

Posted by 와우댕글

소개글

결론 및 토의를 제 생각대로 적었으며, 실험 조교님이 가장 많이 썼다고 했습니다.물론 보고서 점수는 A+을 받았습니다.




본문내용

2. 결론 및 토의 
중력가속도 g의 값은 대체로 이론값인 9.8m/s²과는 같지 않았지만 그와 비슷한 값을 가지게 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진자의 주기 원리로부터 공식을 이용해 중력가속도를 구해보고 오차의 원인을 분석해보았다. 이를 이용해 다양한 지점에서 진자를 이용해 중력가속도의 측정도 가능하겠다.
진자의 질량을 계산하지 않은 것은 진자의 주기와 중력가속도와의 관계에서 질량이 무관해지기 때문에 구하지 않아도 된 것이다. 질량이 무관해지는 건 복원력 F=mgsin?가 단진동에서의 힘의공식 mLw² 과 같게 되어 w와 주기 T를 구하게 되면서 질량이 약분되기 때문이다.
실험에서 주기를 측정하는데 왜 180회까지 측정하여 계산할까 0~80의 값과 100~180의 값을 측정하고 빼서 100T를 구하고 이의 평균을 구해서 최대한 오차를 피하려고 하는 것이다. 단진자의 진동주기는 그렇게 길지 않다. 진자 길이가 25 cm정도에 1초이므로 웬만큼 길게 해도 측정하기 쉽지 않다. 정교한 전자 장비를 사용해도 오차가 있기 때문에 100번 진동하는 시간의 평균을 구해서 이를 100으로 나누어 사용하는 것이다.
오차가 나게 된 원인을 분석해보자. 이 실험에서 생기게 된 오차가 있고 이론값과 실제에서의 값과 차이가 있는 것 때문도 있을 것이다.
우선 이 실험에서 생기게 된 오차를 분석해보자.




다운받기/자세히보기



'보고서자료 > 자연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탄성변형 결과보고서  (0) 2013.06.18
자유낙하운동 결과보고서  (0) 2013.06.18
길이측정 결과보고서  (0) 2013.06.18
기주공명장치 결과보고서  (0) 2013.06.18
관성모멘트 측정 결과보고서  (0) 2013.06.18
Posted by 와우댕글